Nexus란 Sonatype라는 회사에서 만들었으며 내부망에서 사설 레지스트리로 구성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저장소입니다.
Nexus를 사용하는 이유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라이브러리나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고 외부 저장소에 의존하지 않고 내부에서 필요한 종속성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하단은 sonatype의 nexus 공식 페이지입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Docker 환경에서 Nexus를 설치하고 admin 계정 로그인을 해서 초기 세팅을 진행하겠습니다.
추후에는 넥서스에 의존성 라이브러리들을 올려보는 것도 진행을 해볼 것입니다.
Nexus 설치 명령어
docker run 명령어를 통해서 sonatype/nexus3을 설치를 진행합니다.
하단 링크는 Docker hub에 sonatype/nexus3의 저장 링크입니다.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면 sonatype/nexus3에 대한 상세 설명과 설치 과정이 존재합니다.
docker run을 명령어를 실행하면 docker image가 로컬에 없으면 Docker Hub에 접근해서 도커 이미지를 가져오고 컨테이너로 실행합니다.
VM 환경에서 설치를 한다면 사용자 설정이나 부가적인 설치 과정들이 존재하지만,
Docker 환경에서 설치를 하면 명령어 한 줄로 간단하게 실행 가능합니다.
하단에는 docker 명령어 옵션에 대한 설명입니다.
- -d : 백그라운드 실행
- -p : 호스트와 공유할 포트 설정
- 8081: 넥서스 WEB UI port
- --name : 컨테이너 이름 설정
docker run -d -p 8081:8081 --name nexus sonatype/nexus3
명령을 실행하고 로컬에 이미지가 없다면 Unable to find image 'sonatype/nexus3:latest' locally 안내가 뜨고 Docker Hub에 접근해서 이미지를 가져오고 컨테이너로 실행합니다.
nexus 정상 기동 테스트 - curl 명령어
정상적으로 nexus가 기동되었는지 확인해 보려면 curl 명령어로 요청을 날려도 되고, 웹 브라우저에 8081 포트나 자신이 지정한 포트로 접근하면 됩니다.
curl 명령어를 날려서 html 관련 코드가 응답이 오면 정상적으로 기동이 된 것입니다.
curl http://localhost:8081/
브라우저에서 확인
http://localhost:8081 주소로 웹 브라우저에 들어가면 nexus가 정상적으로 기동이 된 것을 확인 가능합니다.
nexus admin 초기 패스워드 확인
nexus admin 초기 패스워드는 nexus 컨테이너에 /nexus-data/admin.password 경로 파일에 존재합니다.
해당 파일에 접근하기 위해서 docker exec 명령어를 통해서 nexus 컨테이너에 접근을 해야 합니다.
docker exec -it nexus /bin/bash
nexus 컨테이너에 접근이 되었으면 /nexus-data 경로로 이동을 해서 admin.password를 cat 명령어를 통해서 출력하고 복사합니다.
cd /nexus-data
ls -al
cat admin.password
neuxs admin 로그인 후 초기 설정
admin.password 값을 복사했으면 http://localhost:8081 주소로 웹 브라우저로 들어가서 ID/PW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합니다.
PW는 admin.password 복사한 값을 입력합니다.
ID/PW를 입력하면 하단과 같은 Setup 팝업이 나옵니다.
Next 버튼을 누릅니다.
새로운 패스워드 입력 팝업이 나오고, 자신이 설정할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입력을 하고 Next 버튼을 누릅니다.
하단 화면은 로그인을 하지 않은 익명 사용자도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인지 설정하는 것입니다.
Anonymous Access Enable / Disable 설정이 나오는데 현재는 초기 설정이니 모두 Enable로 열어주겠습니다.
나중에는 로그인 사용자만 의존성 라이브러리들을 접근 가능하게 하고 싶으면 변경하면 됩니다.
Enable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누릅니다.
Complete 팝업이 나오게 되고, Finish 버튼을 누르면 Nexus 초기 설정은 끝났습니다.
정리
현재는 Nexus를 사내에서 maven 및 npm 관련 라이브러리 사설 저장소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사내에서 사용을 하고 있는데 직접 설치를 해보고 싶어서 설치 하는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윈도우 Docker 환경에서 nexus 설치를 진행하고 admin 계정 로그인 후 초기 설정을 진행했습니다.
Docker 기반 환경에서 설치를 한다면 윈도우나 리눅스 설치 과정 차이는 없습니다.
추후에는 Nexus에 의존성 라이브러리를 올리는 것을 진행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Nex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xus bluk upload 방법 및 400, 405 에러 해결 (0) | 2024.12.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