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10에서 Oracle 19c를 완전 삭제 하기 위해서는 하단 3가지를 진행해야 합니다.
- 서비스 > Oracle로 시작하는 서비스 모두 중지
- Oracle deinstall.bat 실행
- 레지스트리에서 Oracle 관련 삭제
3번 레지스트리 삭제를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레지스트리를 잘못 삭제하게 되면 윈도우 부팅에도 문제가 생깁니다.
레지스트리에 Oracle 관련 내용을 삭제할 때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Oracle 관련 폴더만 삭제해야 합니다.
저처럼 바보같이 Wow6432Node 폴더를 전체 삭제하게 되면 재부팅 시 기동이 정상적으로 안 됩니다...ㅎㅠㅠ
레지스트리 삭제 시 주의점과 Wow6432Node 폴더를 실수로 삭제하고 재기동을 했는데 정상적으로 윈도우가 안 켜질 때
시스템 복원 기능이 활성화가 되어있을경우 안전모드로 이동해서 복원한 방법을 공유드리겠습니다.
레지스트리 삭제 시 주의점
레지스트리는 윈도우 + r 단축키를 입력하고 regedit을 입력하고 엔터를 입력하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 수 있습니다.
하단과 같이 레지스트리가 열리게 되고 Oracle과 관련된 레지스트리를 삭제하면 됩니다.
1. HKEY_CLASSES_ROOT\ora 로 시작하는 레지스트리 삭제
2. HKEY_LOCAL_MACHINE\SOFTWARE\oracle 폴더 삭제
3.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Ora 폴더 삭제
- 주의 : Wow6432Node 하위 Ora 이름이 있는 폴더만 삭제해야 합니다.
- Wow6432Node 폴더 자체는 윈도우의 중요파일이기에 절대 삭제하면 안 됩니다.
4.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ora* 로 시작하는 폴더 삭제
안전모드 이동 후 시스템 복원 진행
안전모드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데스크탑, 노트북마다 단축키가 다릅니다.
레노버 씽크패드 기준 F11입니다.
옵션 선택 > 문제 해결 클릭
안전모드로 들어오게 되면 옵션 선택 화면으로 이동 가능합니다.
옵션 선택에서 문제 해결을 클릭합니다.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클릭
문제 해결에서 고급 옵션을 클릭합니다.
고급 옵션 > 시스템 복원 클릭
고급 옵션에서 시스템 복원을 클릭합니다.
시스템 복원 항목 확인 및 진행
저는 시스템 복원을 진행했기에 복원 내역이 나오지 않아서 삼성 고객센터 게시글에 있는 이미지를 가져왔습니다.
시스템 복원일자에 원하는 일자가 있다면 선택을 하고 복원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만약에 해당 방법으로 복원이 되지 않는다면 다른 방법은 찾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bero6 parameters 및 session 목록 조회 방법 (0) | 2025.01.08 |
---|---|
Oracle 19c setup.exe 실행되지 않는 문제 (0) | 2024.11.20 |